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정치부 김유빈 기자 나와 있습니다. <br><br>Q. 김 기자, 당이 심상치가 않네요. <br><br>네, 가장 달라진 점은 이제 모두가 이재명 대표를 직접 겨냥하고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그동안엔 비명계 의원들의 <원칙과 상식> 정도만 외쳤던 이재명 대표 2선 후퇴와 비대위 전환 목소리가 다시 터져나왔는데요. <br> <br>일단 원로들이 화가 났습니다. <br><br>오늘 김원기 임채정 문희상 전 의장 등 원로들이 만났는데 이재명 대표 퇴진 이야기 나올 정도로 격앙된 분위기였다고 합니다. <br><br>김부겸, 정세균 두 전직 총리와, 비명계 의원들도 이재명 대표가 공천 갈등 직접 정리하라고 겨냥하고 있습니다.<br> <br>Q2. 비공개 의총장 분위기는 더 험악했다면서요?<br> <br>저희가 참석한 의원에게 물어봤는데요. 이런 표현을 쓰더군요. <br> <br>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 가결 당일 의총 분위기가 100정도라면, 오늘은 70정도는 될 정도로 험악했다고요. <br> <br>일단 발언한 비명계 의원 수가 많습니다. 20명 정도나 되고요. <br> <br>홍영표 전해철 윤영찬 이인영 설훈 의원 등 친문 비명계들도 다 나왔고, 권인숙 이수진 김상희 의원 등 여성 의원도 나왔고 일부는 눈물까지 보인 것으로 전해집니다. <br> <br>친문 의원들은 자리에 앉은 채로 소리도 쳤다는데요. <br> <br>"하위평가 결과 다 까라", "여론조사도 업체 어딘지 모른다고만 하지 말고 추적해서 밝히라", "이재명 대표는 어디갔냐"고요. <br> <br>이재명 대표는 오늘 의총에 참석하지 않았는데요. <br> <br>취재해보니 오늘 본회의가 끝난 뒤 곧장 의원실로 향한 것으로 전해집니다. <br><br>Q. 이재명 대표에 대한 반감이 크군요. <br><br>이재명 대표 발언을 대놓고 비꼬았는데요. <br><br>이재명 대표 "혁신이란 가죽을 벗기는 고통"이라고 했죠. <br> <br>윤영찬 의원은 "혁신이란 자기 가죽을 베야하니 고통스러운것"이라며 남의 살만 벤다고 비꼬았고요. <br> <br>탈당한 김영주 의원, "떡잎이 져야 새순이 자란다"는 발언을 뒤집어서, 인위적으로 자르면 새순은 안 자란다고 받아쳤습니다. <br><br>Q3. 오늘 왜 이렇게 난리가 난 거예요?<br> <br>하위 20% 통보가 갈등을 폭발시키는 방아쇠가 됐습니다. 믿을 수 없는 결과라는 거죠. <br><br>비명계는 평가위원회 주관이 들어가는 정성평가에서 비명계만 깎았다고 의심하는데요. <br> <br>지도부는 '대부분 수치화된 정량평가로 이뤄져 손댈 수 없다고 반박합니다. <br><br>그래서 제가 평가 항목을 입수해봤습니다. <br><br>바로 이 자료인데요. <br><br>보시면, 총 27개 항목에 천 점 만점인데요. <br><br>같이 객관적으로 양으로 평가할 수 없는 정성 평가 항목이 꽤 많습니다. <br><br>또 다면평가라는게 있는데요. <br> <br>의원들과 보좌진이 다른 의원들을 평가하는 항목인데요. <br> <br>정치권에 오래있던 한 보좌관 말로는, "사실상 친한 방끼리 몰아주는 분위기"라고 합니다. <br> <br>이렇듯 개인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수 있는 항목들, 합쳐봤더니, 20%가 넘었습니다. <br><br>Q. 그러게요. 비명 의원들은 내가 의정대상 받았는데 왜 하위냐 반발이 많더라고요. <br><br>네. 예를 들면 이런 겁니다. <br> <br>입법수행실적이 전체 평가의 8%를 차지하거든요. <br><br>제가 민주당 의원들 <법안발의 현황>을 확보했는데요. <br> <br>하위20%에 속한 의원들은 대부분 100건에 가까운 수치로 평균 이상이었습니다. <br> <br>반면 이재명 대표, 167명 중 166등이었습니다. <br><br>또 전체 6%에 달하는 상임위-본회의 출석률. <br> <br>마찬가지로 하위20% 의원들은 90%에 가까웠습니다. <br><br>이재명 대표보다 훨씬 높은 수치였고요. <br><br>그러다보니 불공정한 평가아니냐 말이 나오는 겁니다. <br><br>Q5. 이재명 대표 측은 이런 위기 어떻게 극복하려고 해요?<br> <br>이재명 대표 측도 촉각을 곤두세우곤 있는데요. <br> <br>당 쇄신을 위한 불가피한 진통으로 보는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오늘 의총 때 친명 의원들, 4년 전 친문이 공천 주도할 땐 칼을 휘둘렀으면서, 이제와서 저런다며 냉소적인 분위기도 있었습니다. <br> <br>대표 거취도 아직은 검토하지 않는다는 반응입니다.<br /><br /><br />김유빈 기자 eubini@ichannela.com